본문 바로가기

경제/지표해설3

명목 GDP vs 실질 GDP 차이와 주가와의 상관관계 분석 국내외 경제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 중 하나가 바로 GDP입니다. 특히 명목 GDP와 실질 GDP는 경제 성장률을 해석하는 데 핵심적인 지표이며, 주식시장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중요한 기준점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고, 명목 GDP가 주가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명목 GDP와 실질 GDP의 차이구분명목 GDP실질 GDP 정의해당 연도의 시장가격으로 계산한 GDP기준 연도의 가격(불변가격)으로 계산한 GDP반영 요소물가 상승 포함물가 상승 배제 (인플레이션 조정)활용 목적경제 규모의 크기 비교경제 성장률의 실질 변화 측정예시2025년 자동차 100만 대 × 3천만 원 = 300조 원2025년 자동차 100만 대 × 2020년 가격.. 2025. 7. 5.
2024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대출은 늘고, 이용자는 줄었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출 잔액은 소폭 증가했지만 이용자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금리, 경기 둔화, 제도 변화 속에서 서민 금융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특히 2025년 7월부터 시행될 개정 대부업법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조사는 향후 금융정책 방향과 시장 대응 전략에 시사점을 줍니다. 대출은 늘었지만, 수요층은 더 줄어들었다2024년 말 기준 대부업 대출잔액은 12조 3,348억 원으로 6월 말 대비 약 1,243억 원 증가했습니다. 이 중 상당수는 자산 100억 원 미만의 중소형 대부업체를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대형 대부업체의 대출은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이는 전통 금융권 이용이 어려운 일부 계층이 여전히 대부업에.. 2025. 6. 30.
소비자심리지수란? 의미·계산법·해석 방법·최근 전망까지 완벽 정리 소비자심리지수(Consumer Sentiment Index, CCSI)는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현재의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에 대한 인식을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요즘 살림살이 어때요?”, “앞으로 경기는 좋아질 것 같나요?” 같은 질문에 대한 국민들의 응답을 종합해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데 활용되는 심리지표입니다. 1. 소비자심리지수의 의미와 구성소비자심리지수는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공동 조사하며, 전국 2,500 가구를 대상으로 매월 설문을 실시합니다. 이 지수는 다음과 같은 6개 주요 항목을 바탕으로 구성됩니다.현재생활형편미래생활형편 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이 6개 항목의 지수를 평균 내어 소비자심리지수(CCSI)를 산출합니다. 2. 지수 해석 방법기준값은 1.. 2025. 6. 26.